녹화 공간 세팅하기
학생들이 강의를 통해 좋은 경험을 얻게 하려면 녹화 공간을 적절하게 세팅해야 합니다. 학생들이 보고 듣는 데 문제가 없도록 동영상에 잡음이나 튀는 소리, 카메라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게 하세요. 다행히 강의를 만들기 위해 데 전문 스튜디오를 이용할 필요는 없습니다. 집안에 곧바로 녹화 공간을 세팅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.
시작하기 전에
강의의 종류에 따라 다른 세팅이 필요하다는 점을 기억하세요. 스크린캐스트 동영상의 경우 컴퓨터 화면을 녹화한 뒤 음성을 덧입히게 됩니다. 직접 강의하는 동영상의 경우 자신을 “화자”로 또는 작업을 수행하는 모습(명상, 관리 스킬, 아두이노 만들기 등)을 녹화할 수 있습니다. 녹화를 마친 후 편집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스크린캐스트와 연설 영상을 조합할 수도 있습니다.
녹화 도구 선택하기
다양한 예산에 알맞은 추천 목록을 참조하세요.
카메라: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카메라가 있습니다. 먼저 컴퓨터 카메라나 휴대폰 카메라를 사용해 보세요. 이러한 장비의 품질이 만족스럽지 않다면 웹캠이나 DSLR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.
마이크: 학생들에게 뛰어난 학습 경험을 제공하려면 우수한 음질이 필수적입니다. 컴퓨터나 휴대폰에 내장된 마이크의 경우 음질이 충분히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습니다. 품질이 우수한 핸즈프리 마이크 에 투자하면 안정적으로 주변 소음을 줄일 수 있고, 크기가 작아 영상에서 눈에 띄지 않습니다. 또는 탁상용 마이크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 어떤 방법이든 강의의 품질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투자가 될 것입니다.
스크린캐스트 소프트웨어: Quicktime Player, CamStudio, Jing과 같은 스크린캐스팅 소프트웨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 일부 소프트웨어는 무료로 배포되거나 컴퓨터와 함께 제공되고, 유료 구매가 필요한 것도 있습니다.
조명 장비: 먼저 자연광을 활용해 보세요. 밝기가 충분치 않다면 집에 있는 램프나 조명을 추가해 보세요. 그래도 부족할 때는 3점 조명 키트를 사용하는 걸 추천합니다.
오디오 세팅
- 당연한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, 녹화 장비에 외부 마이크를 제대로 연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마이크 설정의 게인값을 확인하세요. 게인값에 따라 마이크로 들어오는 오디오의 크기가 달라집니다. 게인값이 너무 높으면 녹음된 소리에서 전기적 잡음이 들릴 수 있습니다.
- 마이크의 오디오 출력을 확인하세요. 모노가 아닌 스테레오로 설정해야 합니다.
- 마이크를 향해 크고 또렷한 목소리로 말하세요. 마이크와 15~30cm의 거리를 두고 말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. 마이크와 너무 가깝거나 떨어진 곳에서 말하지 않도록 하세요.
- 녹음한 오디오에서 특히 “ㅍ” 발음 시 튀는 소리가 들린다면 팝 필터를 사용하세요. 팝 필터를 마이크에 부착하면 튀는 소리를 흡수해 줍니다. 튀는 소리가 나면 오디오에서 부자연스러운 스파이크가 발생해 학생들이 듣기 거북할 수 있습니다.
카메라의 녹화 및 내보내기 설정
카메라의 녹화 및 내보내기 설정이 적절하게 세팅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.
- 화면 비율: 프레임의 가로와 세로 비율입니다. 영상의 화면 비율은 16:9 여야 합니다.
- 비디오 해상도: 프레임의 픽셀 수(p)로 나타내는 화질 기준입니다. 비디오 해상도는 720p 이상이어야 합니다. 고해상도(HD)는 비디오 해상도가 720p 이상인 경우를 이야기합니다.
녹화 공간 세팅하기
집안에 녹화 공간을 세팅하기 위한 몇 가지 모범 사례입니다.
- 공간 세팅하기 소리의 울림을 흡수할 수 있도록 녹화 공간을 방음 처리하세요. 방음 패널을 사용하거나 담요, 쿠션, 베개, 카우치와 같이 방음 효과를 낼 수 있는 물건들을 배치하여 녹화 시 울림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
- 스크린캐스팅 녹화를 위한 컴퓨터 배경 화면 화면에 나타나는 강의 내용에 방해 요소가 없도록 바탕화면을 깔끔하게 유지하세요. 강의와 관련 없는 내용이 나타나지 않도록 브라우저와 탭을 정리합니다.
- “화자” 동영상을 위한 조명 세팅 실내에서 창가에 앉아 녹화할 경우, 빛이 뒤에서 들어오지 않고 정면이나 측면에서 들어오도록 하세요. 영상의 주 피사체가 잘 보이도록 밝게 비춰야 합니다. 배경이나 얼굴에 그늘이 지지 않도록 하세요. 장비 세팅 방법을 참조하세요.
영상 촬영을 위한 프레임 설정
카메라 배치와 이동에 관한 몇 가지 팁을 소개합니다.
- 삼등분 규칙을 적용해 영상의 피사체가 화면의 중앙 또는 옆에 오도록 합니다. 프레임이 3×3칸으로 9등분되어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. 영상의 초점이 라인 또는 교차점을 따라가도록 하면 보다 매력적인 화면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.
- “화자” 동영상을 만들 경우, 학생과 일대일 대화를 한다고 상상해 보세요. 카메라와 너무 떨어지거나 너무 가까운 곳에 있지 않도록 합니다. 또한 카메라를 머리보다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 곳에 두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.
- 카메라를 잘 고정하세요. 삼각대를 사용하거나 안정적인 표면에 거치하고, 직접 카메라를 들고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.
강의 녹화 준비하기
녹화 준비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활용해 보세요. 또한 이 모범 사례로 학생들이 뛰어난 학습 경험을 갖도록 하세요.
녹화 세팅에 대한 질문이 있거나 숙련된 강사들이 무엇을 사용하는지 궁금하시다면 강사 커뮤니티를 방문하여 강사들과 교류하고 조언을 구하거나 관련 글들을 검색해 보세요.